Canada Work Permit Types Explained (2025) — LMIA vs Open Work Permit

Canada Work Permit Types Explained (2025) — LMIA vs Open Permit Canada Work Permit Types Explained (2025) — LMIA vs Open Permit 2025년 캐나다는 노동시장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높습니다. 하지만 캐나다에서 합법적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워크퍼밋(Work Permit) 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방식은 LMIA 기반 워크퍼밋 과 오픈워크퍼밋(Open Work Permit) 으로 나뉩니다. 두 허가 유형은 자격, 절차, 권한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MIA 기반 워크퍼밋이란? LMIA(Labour Market Impact Assessment)는 고용주가 외국인을 고용해도 캐나다 노동시장에 부정적 영향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절차입니다. 즉, 고용주가 먼저 승인(LMIA)을 받아야 하고, 그 뒤 근로자가 워크퍼밋을 신청하는 방식 입니다. LMIA 워크퍼밋의 특징 고용주가 LMIA 신청 → 승인 후 취업 허가 신청 가능 특정 회사·특정 직무로 묶인 “고용주 지정형” 허가 근무지·직무 변경 시 허가 재신청 필요 LMIA 절차가 까다롭고 시간·비용 부담이 큼 장점 영주권(Express Entry·PNP 등) 점수에 도움이 되는 경력으로 인정되는 경우 많음 캐나다 내 장기 취업 루트로 연결되기 좋음 단점 고용주가 먼저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함 회사 변경이 사실상 어렵거나 번거로움 승인까지 시간 소요가 큼 오픈워크퍼밋(Open Work Permit)이란? 오픈워크퍼밋은 어느 고용주든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취업허가 로, 고용주 지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LMIA도 필요 없으며, 캐나다 정착 초기에 가장 활용도가 높은 허가 유형입니...

캐나다 Express Entry 2025: CRS 점수 계산법 + 최신 컷오프 정리

캐나다 익스프레스 엔트리 2025 — CRS 점수 계산법과 최신 컷오프

캐나다 Express Entry 2025 — CRS 점수 계산법 + 최신 컷오프

2025년 캐나다 이민은 점수 경쟁이 크게 강화되었습니다. 올해부터 취업 제안(Job Offer) 점수 반영이 사라졌고, 불어·의료·기술직 중심의 카테고리 기반 추첨이 늘어나면서 점수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또한 금리·물가·주거비 부담이 이어지며 캐나다로 정착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내 CRS 점수로 실제 초대장을 받을 수 있는가”는 가장 현실적인 질문이 되었습니다.

CRS 점수 계산 구조 (2025년 기준)

CRS 점수는 크게 네 가지로 구성됩니다.

1. 핵심 인적 자본 점수

  • 나이
  • 학력
  • 언어 능력(영어·불어)
  • 캐나다 내 경력

2. 배우자 요소

배우자의 학력, 언어 능력, 캐나다 경력 등을 반영해 소규모 점수가 추가됩니다.

3. 기술 이전 가능성 점수

학력 + 언어 능력, 경력 + 언어 능력 등 조합에 따라 점수가 더해지는 구조입니다.

4. 추가 점수

  • 불어 능력 우수
  • 주(州) 지명(PNP)
  • 캐나다에 형제·자매 거주

주의: 2025년부터 취업 제안(Job Offer)에 대한 추가 점수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

2025년 최신 Express Entry 컷오프 동향

2025년은 프로그램별 컷오프 점수 차이가 매우 큽니다.

1. CEC(캐나다 경험 이민) 중심 추첨

최근 발표된 CEC 중심 추첨에서는 최소 점수가 약 530점대에서 형성되었습니다.

2. PNP(주정부 지명) 기반 추첨

PNP는 주지명 점수 600점이 추가되기 때문에 700점대 컷오프가 일반적입니다.

3. 카테고리 기반 추첨

불어 능력, 의료·기술 분야 등 특정 직군을 중심으로 하는 추첨에서는 종종 400~500점대 중반에서도 초청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 CRS 점수는 어느 정도여야 하나?

점수대 현실적 전망
600점 이상 PNP를 받은 경우로 초청 가능성이 매우 높음
530~580점 CEC·카테고리 기반 추첨에서 유리한 구간
500~530점 가능성 있으나 경쟁 치열, 불어·학력·언어 점수 상향 필요
450~500점 카테고리 기반 추첨 또는 PNP 전략 필수
450점 이하 언어 점수 개선 또는 주지명 탐색이 사실상 필수 전략

2025년 현실적인 점수 상승 전략

1. 언어 점수(영어·불어) 극대화

CLB 9~10에 도달하면 기술 이전 점수까지 겹쳐 전체 점수 상승 폭이 매우 큽니다.

2. 불어 능력 점수 활용

불어는 2025년에 특히 강력한 가산점 요소입니다.

3. 주지명(PNP) 프로그램 탐색

주별로 조건이 다르므로 최소 3곳 이상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학력·경력 정리 및 평가(ECA)

해외 학력은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점수로 인정됩니다.

캐나다 생활 예산과의 연결: 왜 점수가 더 중요해졌나?

물가·렌트·보험료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에서, 캐나다 정부는 “정착 가능성”을 더 높게 보는 지원자에게 우선순위를 주고 있습니다. 즉, 언어·경력·학력 점수가 높고 안정적인 직군일수록 실제 정착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되므로 점수 경쟁이 강화된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영어 점수가 낮아도 가능할까요?

가능하지만 다른 요소(불어·PNP·경력 등)를 반드시 강화해야 합니다.

Q. CEC와 일반 추첨 중 뭐가 더 유리한가요?

2025년은 CEC 중심 추첨이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아 캐나다 내 경력이 있다면 유리할 수 있습니다.

Q. 480점대면 가능성이 있나요?

가능하지만 카테고리 기반 또는 PNP가 사실상 필수 전략입니다.

정리: 2025년 Express Entry에서 살아남는 법

  • 영어·불어 점수 최대화
  • 학력 인증(ECA) 완료
  • 주정부 지명(PNP) 적극 탐색
  • 카테고리 기반 추첨 대상 직군 확인
  • CRS 점수 상세 계산 후 부족한 부분 보완

2025년 Express Entry는 단순히 점수만 높은 지원자보다, 언어·학력·경력·불어·PNP 등 종합적으로 준비된 지원자에게 기회가 돌아가는 구조입니다. 지금 자신의 프로필을 정확히 계산하고 개선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빠른 길입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Privacy-First Tech Tools (2025): VPNs, Password Managers & Cloud Security

2025 Korea Travel Guide: K-ETA Application, T-money Card, SIM Tips & Essential Tourist Hacks

Seoul vs Busan Housing 2025: Long-Term Lease, Share House & Officetel Cost Comparison